728x90
반응형
728x90

 

 

✅ Object 자료형이란?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object)는 여러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자료형입니다. 객체는 이름과 값의 쌍으로 이루어진 속성(property)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속성은 문자열 또는 심볼 값을 가질 수 있고, 객체, 함수, 배열 또는 기본 데이터 유형(숫자, 문자열, 불리언 등)의 값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JavaScript 중괄호 { } 로 정의되며, 속성들은 쉼표로 구분됩니다. 각 속성-값 쌍은 쉼표로 구분되며, 속성 이름은 문자열이어야 하고, 값은 문자열, 숫자, 불리언, 객체, 배열, 또는 null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은 객체를 정의하는 예시입니다.

            const panda = {
              name: "푸바오",
              age: 17,
              hobbies: ["eating", "playing"]
            };

            name: 문자열 값 ("푸바오")
            age: 숫자 값 (17)
            hobbies: 배열 (문자열의 배열)

자바스크립트 객체는 동적으로 속성을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습니다. 객체 내의 속성은 해당 속성의 이름을 사용하여 접근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anda.name은 "푸바오"를 반환합니다.

객체는 JavaScript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개념이며,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조작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객체는 프로그램의 다양한 부분에서 사용되며, 자바스크립트에서 매우 흔하게 쓰입니다.

 


React에서 라우팅 설계

React에서 라우팅이란, 다양한 화면(페이지) 간의 전환 및 네비게이션을 관리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여러 페이지를 갖고 있을 때, 사용자가 각 페이지로 이동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변경하면서 화면이 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라우팅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React에선 React-Router를 이용하여 라우팅을 구조화하고 설계합니다. 이 때 사용되는 항목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1. Router (라우터) <BrowserRouter> : HTML5의 History API를 사용하여 브라우저의 URL을 관리하는 라우터입니다. 주로 브라우저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HashRouter> : URL의 해시(fragment)를 사용하여 라우팅을 관리하는 라우터입니다. 주로 정적 파일 서버에서 사용되거나 브라우저 호환성을 고려할 때 유용합니다.

  2. Route (라우트) <Route path="/somepath" component={SomeComponent} /> : 특정 경로(path)에 대한 컴포넌트(component)를 렌더링합니다. 지정된 경로에 도달하면 해당 컴포넌트가 렌더링됩니다. 보통 나누어지는 페이지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3. Outlet (아웃렛) <Outlet /> : 중첩된 라우터에서 부모 라우터 컴포넌트 내에서 자식 라우터 컴포넌트를 렌더링하는 역할을 합니다. Outlet은 중첩된 라우터 사이에서 자식 라우터가 렌더링될 위치를 나타냅니다.

  4. Link (링크): <Link to="/somepath">Go to Some Path</Link> 다른 경로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컴포넌트입니다. 클릭 시, 지정된 경로로 이동하게 됩니다.

  5. Redirect (리다이렉트): <Redirect to="/newpath" /> : 특정 경로로 리다이렉트할 때 사용합니다. 사용자가 지정된 경로로 이동하려고 할 때, 자동으로 새로운 경로로 리다이렉션됩니다.

  6. Switch (스위치) <Switch>: 여러 <Route> 컴포넌트 중 첫 번째로 매치되는 라우트만 렌더링하도록 도와주는 컨테이너입니다. 중첩된 라우트에서 사용하여 중복된 경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라우팅 구조는 위의 컴포넌트들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정의됩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을 사용하여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다양한 화면 간의 전환을 관리하고 네비게이션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React Router에서 라우팅을 구현할 때는 BrowserRouter를 루트 컴포넌트로 사용하고, Route, Link, Switch, Outlet, 그리고 Redirect 등을 조합하여 필요한 네비게이션 구조를 생성합니다.

 

✍️ Route 사용 예제

 

    이 예제에서는 / 경로는 Home 컴포넌트를, /about 경로는 About 컴포넌트를 렌더링합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BrowserRouter, Router, Route, Link } from 'react-router-dom';

                const Home = () => <h2>홈 페이지</h2>;
                const About = () => <h2>소개 페이지</h2>;

                const App = () => (
                  <Router>
                    <nav>
                      <Link to="/">홈</Link>
                      <Link to="/about">소개</Link>
                    </nav>
                    <Route path="/" exact component={Home} />
                    <Route path="/about" component={About} />
                  </Router>
                );

                export default App;

 

 💡useNavigate( )

 

useNavigate는 함수 컴포넌트 내에서 라우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후크를 사용하면 함수 컴포넌트 내에서 라우팅을 쉽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const MyComponent = () => {
			  const navigate = useNavigate();
			
			  const handleClick = () => {
			    // 다른 경로로 이동
			    navigate('/another-page');
			  };
			
			  return (
			    <div>
			      <button onClick={handleClick}>다른 페이지로 이동</button>
			    </div>
			  );
			};

 

 

 

 

💡 Nested Routes (중첩 라우트)



Nested routes(중첩된 라우트)은 하나의 라우트가 다른 라우트에 중첩되어 있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중첩된 라우트를 구현하려면 Route 컴포넌트의 element 속성에 중첩된 컴포넌트를 지정하고, 중첩된 컴포넌트에서는 Outlet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하위 라우트를 렌더링합니다.

보통 여러 페이지들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 됩니다. 페이지 간 차이점이 크지 않을 때, 내부의 데이터가 조금씩 변경되는 경우 Nested Routes를 사용하면 일부분만 수정되어 페이지 렌더링을 할 수 있습니다.

 

✍️ 사용 예시

 

        import { Router, Route, Routes, Outlet } from 'react-router-dom';

                const App = () => (
                  <Router>
                    <Routes>
                      <Route
                        path="/dashboard"
                        element={<Dashboard />}>
                        <Route path="profile" element={<Profile />} />
                        <Route path="settings" element={<Settings />} />
                        <Route path="*" element={<NotFound />} />
                      </Route>
                      <Route path="*" element={<NotFound />} />
                    </Routes>
                  </Router>
                );


                const Dashboard = () => (
                  <div>
                    <h1>상단 메뉴</h1>
                    <nav>
                      <Link to="profile">프로필</Link>
                      <Link to="settings">설정</Link>
                    </nav>
                    <hr />
                    <Outlet /> {/* 중첩된 라우트를 렌더링할 위치 */}
                  </div>
                );

        /dashboard/profile 경로로 접근했을 시 함께 라우팅 되는 컴포넌트
                const Profile = () => (
                  <div>
                    <h2>프로필 페이지</h2>
                  </div>
                );


        /dashboard/settting 경로로 접근했을 시 함께 라우팅 되는 컴포넌트
                const Settings = () => (
                  <div>
                    <h2>설정 페이지</h2>
                  </div>
                );


        /dashboard/* //잘못된 경로로 접근했을 시 함께 라우팅 되는 컴포넌트 */
                const NotFound = () => (
                  <div>
                    <h2>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h2>
                  </div>
                );

 

이 예시에서 /dashboard 경로는 Dashboard 컴포넌트를 렌더링하고, /dashboard/profile과 /dashboard/settings 경로는 각각 Profile과 Settings 컴포넌트를 중첩된 라우트로 렌더링합니다.
중첩된 라우트를 렌더링하는 위치는 Outlet 컴포넌트로 지정됩니다.

이렇게 하면 /dashboard 경로로 접근했을 때 Dashboard 컴포넌트가 보이고, Dashboard 내부의 Outlet은 중첩된 라우트의 위치를 나타내며,
/dashboard/profile과 /dashboard/settings에 각각 매핑되는 컴포넌트가 렌더링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첩된 라우트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 URL 파라미터

 

URL 파라미터는 웹 페이지의 URL에 포함된 특정 정보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주로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고 공유하는 데 사용됩니다. URL 파라미터는 물음표( ? ) 뒤에 키-값 쌍으로 이루어진 문자열로 표현되며, 여러 개의 파라미터는 앰퍼샌드( & )로 구분됩니다.

✅ useParams( ) : URL에서 파라미터 값을 추출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후크는 React 함수 컴포넌트 내에서 사용되며, 특정 URL 경로에서 동적으로 변하는 파라미터 값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const Component = () => {
                      const { paramName } = useParams();

                      // paramName은 URL에서 추출한 동적 파라미터 값입니다.

                      return <div>{paramName}</div>;
                    };

            위의 예시에서 paramName은 URL에서 추출한 동적 파라미터의 값입니다. 
            예를 들어, URL이 /users/:id 형식으로 되어있고 현재 페이지의 URL이 /users/123이면, 
            paramName에는 "123"이 할당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useParams를 사용하면 URL에서 동적으로 변하는 파라미터 값을 컴포넌트 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동적 라우팅을 처리하거나 특정 ID나 식별자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불러오는 등의 상황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728x90
반응형

'[FRONTEND]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기본 문법_Props !  (1) 2023.10.20
[REACT] 기본 문법_컴포넌트 문법 & Map( ) 함수  (0) 2023.10.12
[REACT] 기본문법  (0) 2023.10.05
[REACT] 시작하기  (1) 2023.10.03
[REACT] REACT 시작하기  (0) 2023.10.03
728x90

💡 React Props 문법

 

React에서 props(속성)은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입니다. Props를 사용하면 컴포넌트 간의 데이터 흐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컴포넌트들이 데이터를 공유하고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제어하는데 중요합니다.

Props 전달하기

  • <하위Component propName={value} />
  • 여기서 propName은 자식 컴포넌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속성의 이름이고, value는 전달하고자 하는 값입니다.

Props 사용하기 - 자식 컴포넌트에서 props를 사용하는 방법

  • function 자식Component(props) { return <div>{props.propName}</div>; }

또는 ES6의 구조 분해(destructuring)를 사용하여 **props**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 function 자Component({ propName }) { return <div>{propName}</div>; }

 

React에서의 이벤트 핸들러

 

React에서 이벤트 핸들러는 사용자의 동작(클릭, 입력, 마우스 움직임 등)에 대응하여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함수를 의미합니다. 이벤트 핸들러는 React 컴포넌트의 메서드로 정의되고, 주로 사용자 상호작용을 다루는 데 사용됩니다.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입력이나 브라우저 이벤트가 발생하면, React는 해당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 핸들러 함수를 호출합니다. 이 핸들러 함수는 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적인 부분을 업데이트하고, 상태(state)를 변경하거나 컴포넌트를 재렌더링하여 사용자의 행동에 응답합니다.

  • onChange( ) : 사용자 입력에 대한 반응을 처리하고 상태(state)를 업데이트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주로 폼 요소(텍스트 입력, 체크박스, 라디오 버튼 등)과 함께 사용됩니다
            <input type="text" onChange={/* input에 데이터가 입력되며 요소의 변경이 발생되었을 때 실행될 코드 */} />

            onChante((e) => {} )
            input에 입력된 데이터를 가져오고 싶을때 (e)로 입력 
            input 태그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여러 기능이 담겨있음

 

  • onClick( ) : 사용자가 요소를 클릭할 때 발생하며, 주로 버튼이나 링크와 함께 사용됩니다.


		const changeTitle = () => {
                    let copy = [...todo];
                    copy[0] = "스프링 인강 3개듣기"
                    copy[1] = "새싹 문제 3개씩 풀기"
                    copy[2] = "SqlD 문제 5개씩 풀기"
                    setTodo(copy);
                  }

                <button onClick={() => changeTitle}>글 제목 변경 버튼</button>
728x90
반응형

'[FRONTEND]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기본 문법_Object 자료형 , Route  (1) 2023.10.22
[REACT] 기본 문법_컴포넌트 문법 & Map( ) 함수  (0) 2023.10.12
[REACT] 기본문법  (0) 2023.10.05
[REACT] 시작하기  (1) 2023.10.03
[REACT] REACT 시작하기  (0) 2023.10.03
728x90

 

컴포넌트 문법

 

React에서 HTML을 컴포넌트화하여 App.js 파일에 작성하는 것은 매우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이렇게 하면 코드를 재사용하고 유지보수하기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컴포넌트는 반복적인 html을 작성 시 or 내용이 많이 담기는 페이지를 만들 때 or 자주 변경되는 페이지들을 컴포넌트 문법을 사용해서 만드는 게 좋습니다.

1단계 : function 만들어 줍니다.  2단계 : return( ) 안에 html태그를 작성  3단계 : <함수명></함수명>

		import React from 'react';
		
		function FirstComponent() {
		  return (
		    <div>
		      <h1>Hello, World!</h1>
		      <p>내 첫 컴포넌트야 ! </p>
		    </div>
		  );
		}
		
		export default FirstComponent;

**위의 코드에서 FirstComponent는 함수형 컴포넌트로, 간단한 헤더와 문단을 렌더링합니다.
다음으로, 이 컴포넌트를 App.js 파일에서 import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FirstComponent from './FirstComponent'; // FirstComponent 컴포넌트를 import합니다.
		
		function App() {
		  return (
		    <div className="App">
		      <h1>나의 첫 리액트 앱에 방문해줘서 고마!</h1>
		      <FirstComponent /> {/* FirstComponent를 여기에서 사용합니다. */}
		    </div>
		  );
		}
		
		export default App;

 

위의 코드에서 MyComponent를 App 컴포넌트 내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MyComponent 컴포넌트의 UI가 App 컴포넌트 안에 렌더링됩니다.

또한, 다른 컴포넌트들도 동일한 방식으로 만들어서 App.js 파일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큰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작은 컴포넌트로 나누어 개발할 수 있습니다.

 


 

 

동적인 UI 만들어보기

 

 

동적인 UI는 대표적으로 툴팁 , 모달 페이지 등이 있습니다. React에서 동적인 UI를 만드는 방법은 주로 상태와 이벤트 처리를 활용하는 것에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먼저 html css로 미리 디자인을 완성한 후 UI의 현재 상태를 state로 저장하여 state에 따라 조건을 부여한 후 해당 조건이 변경됨에 따라 UI에 변화를 발생시켜 동적으로 기능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1. state를 활용한 동적 UI 만들기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function DynamicUI()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const handleIncrement = () => {
    setCount(count + 1);
  };

  return (
    <div>
      <h1>Count: {count}</h1>
      <button onClick={handleIncrement}>Increment</button>
    </div>
  );
}

export default DynamicUI;

 

state는 컴포넌트의 동적인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useState 훅을 사용하여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상태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2. 이벤트 처리를 활용한 동적 UI 만들기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function DynamicInput() {
  const [inputValue, setInputValue] = useState('');

  const handleInputChange = (e) => {
    setInputValue(e.target.value);
  };

  return (
    <div>
      <input type="text" value={inputValue} onChange={handleInputChange} />
      <p>You typed: {inputValue}</p>
    </div>
  );
}

export default DynamicInput;

 

React에서 이벤트 처리는 일반적인 JavaScript와 유사합니다. 이벤트 핸들러 함수를 정의하고 JSX에서 해당 함수를 이벤트에 연결합니다. 아의 예제에서 handleInputChange 함수는 input 요소의 onChange 이벤트에 연결되어 입력값을 상태에 업데이트합니다.

 

동적 UI를 만들 때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삼항 연산자에 대해서 설명드리자면, React에서 삼항 연산자(ternary operator)는 조건부 렌더링을 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삼항 연산자는 조건이 참이면 A를 반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B를 반환하는 간단한 문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JSX에서 삼항 연산자를 사용하여 조건부로 요소를 렌더링합니다. 예를 들어, 로그인 유무에 따라 페이지의 상태 변화를 주기 위해 isLoggedIn이라는 상태가 있고 이 값에 따라 다른 환영 메시지를 렌더링하고 싶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function Hello() {

                const [isLoggedIn, setIsLoggedIn] = useState(false);

                  return (
                    <div>
                      {isLoggedIn ? (
                        <h1>반가워 !</h1>
                      ) : (
                        <h1>회원 가입을 부탁드립니다.</h1>
                      )}
                    </div>
                  );
                }

                export default Hello;

 

위의 코드에서 삼항 연산자를 사용하여 isLoggedIn 값이 true이면 "반가워 !"을, 그렇지 않으면 "회원 가입을 부탁드립니다."을 렌더링합니다. JSX 코드 내에서 삼항 연산자를 중괄호 **{}**로 둘러싸는 것에 주의해야 합니다.

삼항 연산자는 조건이 더 복잡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sLoggedIn이 true일 때와 isAdmin이 true일 때 각각 다른 메시지를 보여주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function Hello() {

            const [isLoggedIn, setIsLoggedIn] = useState(false);

              return (
                <div>
                  {isLoggedIn ? (
                    isAdmin ? (
                      <h1>관리자 계정으로 접속하셨습니다.</h1>
                    ) : (
                      <h1>반가워 !</h1>
                    )
                  ) : (
                    <h1>회원 가입을 부탁드립니다.</h1>
                  )}
                </div>
              );
            }

            export default Hello;

 

이렇게 함으로써 여러 조건에 따라 동적으로 UI를 렌더링할 수 있습니다. 삼항 연산자는 React 컴포넌트에서 조건부 렌더링을 위해 자주 사용되는 패턴 중 하나입니다. onClick 이벤트와 삼항연산자를 함께 사용하면 버튼처럼 isLogined의 상태가 true , false를 반복하게 됩니다.

 


 

💡 React에서의 Map( ) 함수

 

map 함수는 JavaScript 배열에서 사용되며 배열의 각 요소에 대해 주어진 함수를 호출하고 그 결과로 새로운 배열을 반환합니다.

이를 통해 각 요소를 변형하거나 가공하여 새로운 배열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React에서는 map 함수를 주로 배열의 요소를 기반으로 컴포넌트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const newArray = Array.map((element, index, array) => {
              return newArray.element;
            });

            ****element: 배열의 현재 요소
            index: 배열의 현재 요소의 인덱스
            array: map 함수가 호출된 배열 자체

            **[1,2,3].map(function() {
                    [1,2,3]은 array인데, 해당 array 자료 갯수만큼 함수 내부의 코드를 실행함
                return '123456' 
                    => return 값을 해당 배열안에 담아줍니다.

            })**

map 함수는 각 요소에 대해 주어진 콜백 함수를 호출하고 그 함수의 반환값들을 새로운 배열로 반환합니다.

예제 -

        const numbers = [1, 2, 3, 4, 5];

        const NumbersA = numbers.map((number) => {
          return number * number;
        });

        **console.log(NumbersA); // 출력: [1, 4, 9, 16, 25]

        위의 예제에서 map 함수는 numbers 배열의 각 요소를 제곱하여 새로운 배열 squaredNumbers를 생성합니다.**

 

React에서의 활용

React에서 map 함수는 주로 동적으로 컴포넌트를 생성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배열의 각 요소를 기반으로 리스트를 생성하는 경우:

            import React from 'react';

            function Component() {
              const items = ["Item 1", "Item 2", "Item 3", "Item 4"];

              return (
                <ul>
                  {items.map((item, index) => (
                    <li key={index}>{item}</li>
                  ))}
                </ul>
              );
            }

 

위의 예제에서 map 함수는 items 배열의 각 요소에 대해 <li> 요소를 생성하여 동적으로 리스트를 만듭니다. key 속성은 React가 각 항목을 구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map 함수를 사용하면 배열의 각 요소를 기반으로 동적인 UI를 쉽게 생성할 수 있습니다.

 

Map 예제들

            const users = [
               { id : 1, name: "superman"},
               { id : 2, name : "pubao"},
               { id : 3, name : "kwonnnn"} ];

            const userNames = users.map((user) => {
              return user.name;
            })

            console.log(userNames);

             **출력 결과 => (3) ['superman', 'pubao', 'kwonnnn']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const numbers = [1, 2, 3, 4, 5];

            const squaredNumbers = numbers.map((number) => {
              return number * number;
            });

            **console.log(squaredNumbers); // 출력: [1, 4, 9, 16, 25]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const numbers = [1, 2, 3, 4, 5, 6];

            const oddEvenNumbers = numbers.map((number) => {
              return number % 2 === 0 ? 'even' : 'odd';
            });

            **console.log(oddEvenNumbers); // 출력: ["odd", "even", "odd", "even", "odd", "even"]**
728x90
반응형

'[FRONTEND]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기본 문법_Object 자료형 , Route  (1) 2023.10.22
[REACT] 기본 문법_Props !  (1) 2023.10.20
[REACT] 기본문법  (0) 2023.10.05
[REACT] 시작하기  (1) 2023.10.03
[REACT] REACT 시작하기  (0) 2023.10.03
728x90

 React의 이벤트 핸들러

 

React에서 이벤트 핸들러를 다룰 때, 보통 다양한 이벤트 핸들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onClick` 이벤트 핸들러

    onClick 이벤트 핸들러는 **사용자가 클릭할 때 실행됩니다. 아래의 예시에서 handleClick 메서드는 버튼이 클릭될 때 호출됩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const Component = () => {
			  const handleClick = () => {
			    console.log('Button clicked!');
			  };
			
			  return <button onClick={handleClick}>Click Me</button>;
			};
			
				export default Component;

 

2. onChange 이벤트 핸들러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Component = () => {

		  const [inputValue, setInputValue] = useState('');
		
		  const handleChange = (event) => {
		    setInputValue(event.target.value);
		    console.log('입력 값이 변경되었습니다:', event.target.value);
		  };
		
		  return <input type="text" value={inputValue} onChange={handleChange} />;
		};

 

 

onChange 이벤트 핸들러는 사용자가 입력 필드나 선택 옵션을 변경할 때 실행됩니다. 아래의 예시에서 handleChange 메서드는 입력 필드의 값이 변경될 때 호출됩니다

3. onSubmit 이벤트 핸들러

		import React from 'react';
		
		const Component = () => {
		  const handleSubmit = (event) => {
		    event.preventDefault();
		    console.log('제출 완료 !');
		  };
		
		  return (
		    <form onSubmit={handleSubmit}>
		      <button type="submit">Submit</button>
		    </form>
		  );
		};

 

onSubmit 이벤트 핸들러는 폼(form)이 제출될 때 실행됩니다. 아래의 예시에서 handleSubmit 메서드는 폼이 제출될 때 호출됩니다

 


💡 State의 특징

 

🌟 React에서 상태를 업데이트할 때, 새로운 상태를 만들기 위해 불변성(Immutability)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React는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고 적절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만약 기존 상태와 새로운 상태가 동일하다면(값이 같다면), React는 이를 최적화하여 렌더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React에서 상태를 업데이트할 때
상태 변경 함수에 전달하는 인자가 이전 상태와 동일하다면, React는 렌더링을 건너뛰어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그러나 주의해야 할 점은 객체나 배열과 같은 복합 데이터 타입을 다룰 때입니다. 객체나 배열은 참조 타입이기 때문에 동일한 내용을 가지더라도 메모리에 저장된 위치가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객체나 배열의 경우 새로운 객체 또는 배열을 생성하여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const [user, setUser] = useState({ name: '푸바오', age: 10 });

const handleAgeChange = () => {
  setUser({ ...user, age: user.age + 1 }); // 이전 상태와 동일한 내용을 갖는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여 업데이트합니다.
};

 

위의 코드에서 setUser({ ...user, age: user.age + 1 })는 이전 상태의 내용을 유지한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면서 나이 필드를 업데이트합니다. 이렇게 하면 React는 상태가 실제로 변경되었음을 감지하고 렌더링을 수행합니다.

 


Spread Operator (스프레드 연산자)

 

[...data]는 JavaScript의 스프레드 연산(Spread Operator)입니다. 이 연산자는 배열이나 객체의 요소들을 개별 요소로 분해하거나 복사할 때 사용됩니다.

React에서 주로 사용되는 상황 중 하나는 상태(State)나 프로퍼티(Props)를 업데이트할 때 이 연산자를 사용하여 배열을 수정하는 것입니다.

  ✍️ 배열에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거나 기존 요소를 제거하면서 배열을 변경하고 싶을 때 확산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nst newData = [...data, newItem];

위 코드는 data 배열의 모든 요소를 펼쳐서(...data) 새로운 배열을 생성하고, 그 뒤에 newItem을 추가한 새로운 배열을 만듭니다. 기존 배열 data를 변경하지 않고 새로운 배열을 생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불변성(Immutability)을 유지하게 됩니다.

 

또한, 배열에서 요소를 제거하고 싶을 때도 확산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요소를 제거한 새로운 배열을 생성하고자 할 때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data 배열에서 idToRemove와 일치하지 않는 요소들만 남겨서(filter 함수를 사용) 새로운 배열을 생성합니다.**

        const updatedData = data.filter(item => item.id !== idToRemove);

 

스프레드 연산자는 객체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객체의 속성을 복사하거나 새로운 속성을 추가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객체에서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const originalObject = { key1: 'value1', key2: 'value2' };
const updatedObject = { ...originalObject, newKey: 'newValue' };

✍️ originalObject 객체의 모든 속성을 복사하여(...originalObject)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고, 
    그 뒤에 newKey와 newValue 속성을 추가한 새로운 객체를 만듭니다.

 

 

728x90
반응형

'[FRONTEND]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기본 문법_Object 자료형 , Route  (1) 2023.10.22
[REACT] 기본 문법_Props !  (1) 2023.10.20
[REACT] 기본 문법_컴포넌트 문법 & Map( ) 함수  (0) 2023.10.12
[REACT] 시작하기  (1) 2023.10.03
[REACT] REACT 시작하기  (0) 2023.10.03
728x90

 

📋 JSX란 ?

 

JSX(JavaScript XML)는 React에서 사용되는 자바스크립트의 확장 문법입니다. JSX는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UI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JSX는 마치 HTML과 유사한 구문을 사용하여 UI 구성 요소를 작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 JSX 코드는 React 엘리먼트를 생성하며, React 엘리먼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요소입니다.

일반적인 JSX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const title = <h1>Hello, World!</h1>;

JSX의 특징

  1. HTML과 유사한 구문: JSX는 HTML과 매우 유사한 문법을 가지고 있어 익숙한 형태로 UI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2. JavaScript 표현식 포함: {} 중괄호 안에서 JavaScript 표현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동적인 값을 JSX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ex ) const name = "React"; const element = <h1>Hello, {name}!</h1>;

  3. 속성 지정: HTML 요소에 속성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JSX에서는 속성에 값을 할당할 때 중괄호를 사용하여 JavaScript 표현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ex ) const imageUrl = "example.jpg"; const element = <img src={imageUrl} alt="Example" />;

  4. JSX는 표현식: JSX는 표현식이므로 변수에 할당하고, 함수의 인자로 전달하고, 조건문과 반복문 안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동적인 UI를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5. 클래스 이름 지정: class 키워드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JSX에서는 **className**을 사용하여 HTML 요소에 클래스 이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ex ) const element = <div className="my-class">Hello, World!</div>;

 

JSX는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UI를 빌드하는 강력한 도구로,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쉽게 만들어줍니다. React에서 컴포넌트를 작성할 때 JSX를 활용하면 간결하고 효과적인 UI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 React JSX 기본 문법

 

            import React from 'react';

            function App() {

                    return (
                        <div>
                            <h1>Hello, World!</h1>
                            <p>Hello, World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p>
                        </div>
                    );
            }

            export default App;

 

화면에 보여지게 하고 싶은 html 태그는 꼭 return 문 안에 작성되어야 합니다. 해당 코드는 React 함수형 컴포넌트인 App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컴포넌트는 JSX 문법을 사용하여 UI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return 문 안에 작성된 JSX가 컴포넌트의 출력 결과를 결정합니다.

return 문안에 작성되어야 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UI 정의: return 문 안의 JSX는 컴포넌트가 렌더링할 UI를 정의합니다. 컴포넌트의 주된 역할은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UI를 생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JSX를 사용하여 UI를 정의합니다.

  2. 가독성: JSX를 사용하면 UI 구조를 직관적이고 가독성 있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HTML과 유사한 문법을 사용하므로, 컴포넌트의 UI가 어떻게 보이는지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3. 재사용성: JSX를 사용하면 컴포넌트를 쉽게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러 컴포넌트에서 동일한 JSX 구조를 사용하여 일관된 UI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4. 동적 데이터 삽입: JSX 안에서 중괄호 {}를 사용하여 JavaScript 표현식을 넣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동적인 데이터를 UI에 삽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rops.name}과 같이 프로퍼티를 사용하여 동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5. React 엘리먼트 생성: JSX를 사용하면 React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React 엘리먼트는 실제 DOM 엘리먼트와 매핑되며, React가 이를 사용하여 가상 DOM을 구성하고 렌더링을 최적화합니다.

따라서 return 문 안에 JSX를 작성함으로써 React 함수형 컴포넌트는 어떻게 화면에 렌더링될지를 정의하게 되며, 이는 React의 핵심 원칙 중 하나인 "UI는 상태(state)에 의존적이어야 한다"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입니다.

💥 또 하나의 주의점은 React 컴포넌트에서 return 문 안에 병렬로 여러 개의 div 태그를 작성하면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JSX는 하나의 부모 엘리먼트로 묶여있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React가 컴포넌트의 렌더링을 처리할 때 모호성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 Destructuring 문법이란?

디스트럭처링(Destructuring)은 ECMAScript 6(ES6)에서 추가된 JavaScript 문법 중 하나입니다. 이 문법은 배열이나 객체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변수에 할당하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코드를 더 간결하고 가독성 있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1. Array Destructuring

            const numbers = [1, 2, 3, 4, 5];
                const [first, second] = numbers;

                console.log(first); // 1
                console.log(second); // 2

        => 위의 코드에서 numbers 배열의 첫 번째 요소는 first 변수에, 두 번째 요소는 second 변수에 할당됩니다.

 

2. Object Distructuring 문법

                const person = {
                  name: '푸바오',
                  age: 10,
                  city: 'Korea'
                };

                const { name, age } = person;

                console.log(name); // '푸바오'
                console.log(age); // 10

        => 위의 코드에서 person 객체의 name 속성은 name 변수에, age 속성은 age 변수에 할당됩니다.

 

3. Parameter Distructuring

                const person = {
                  name: '푸바오',
                  age: 10
                };

                function displayAnimal({ name, age }) {
                  console.log(`Name: ${name}, Age: ${age}`);
                }

                displayPerson(person); // 출력: Name: 푸바오, Age: 10
        => 위의 코드에서 displayAnimal 함수의 매개변수에서 객체 디스트럭처링을 사용하여 객체의 속성을 추출합니다.

 

Distructuring (디스트럭처링)은 복잡한 데이터 구조에서 특정 값을 추출하거나, 함수의 매개변수로 전달된 객체나 배열에서 필요한 값을 간편하게 추출할 때 유용합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필요한 데이터를 쉽게 다룰 수 있습니다.

 


 

React에서의 state와 state 사용

 

React의 state란 컴포넌트의 상태를 저장하고 변경할 때 사용되며, 주로 사용자 인터랙션에 응답하여 UI를 업데이트하거나 비동기 작업 결과를 처리할 때 활용됩니다. React에서 state를 사용해야 하는 시점컴포넌트의 내부 데이터를 관리하고 동적인 UI를 구현해야 할 때입니다.

  • 사용자 입력 처리: 사용자가 폼을 작성하거나 버튼을 클릭하는 등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stat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입력 필드에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state에 저장하여 렌더링할 때 사용됩니다.

  • 외부 데이터 불러오기: 외부 API 호출 또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불러올 때 비동기 작업의 결과를 state에 저장하여 UI를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가 로드되면 컴포넌트의 state를 업데이트하고, 이를 기반으로 UI를 렌더링할 수 있습니다.

  • 동적 UI 업데이트: 어떤 조건에 따라 UI를 동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할 때 stat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버튼 클릭에 따라 토글되는 상태를 관리하거나, 조건에 따라 다른 컴포넌트를 렌더링하는 등의 상황에서 stat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state를 사용하여 컴포넌트의 동적인 동작과 UI 업데이트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단, state는 컴포넌트의 지역 상태로서 해당 컴포넌트에서만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props로 다른 컴포넌트에 전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모든 데이터를 state 값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주로 컴포넌트 내에서 변경될 수 있는 값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해야 합니다. 이 말은 컴포넌트의 상태가 변할 때만 state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사용자 입력, API 호출 결과, 컴포넌트의 내부 동적 상태 등 컴포넌트가 직접 관리해야 하는 값들이 state로 관리됩니다.

그러나 모든 값이 state로 들어가면 안 되며, 컴포넌트 내에서 변하지 않는 값은 state로 관리하지 않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props로 전달된 값이나, 컴포넌트 내부에서 계산된 값을 state에 저장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state를 사용할 때는 해당 state 값을 직접적으로 변경해서는 안 됩니다. 대신, setState 메서드를 사용하여 state를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React에서 setState() 함수는 비동기적으로 동작합니다. 이것은 setState() 호출이 즉시 상태를 업데이트하지 않고, React 엔진이 성능 최적화 및 일괄 처리를 위해 업데이트를 지연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비동기적 특성은 React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예상치 못한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이러한 비동기 동작은 다음과 같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class MyComponent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state = {
                  count: 0,
                };
              }

              handleButtonClick = () => {
                this.setState({ count: this.state.count + 1 });
                console.log(this.state.count); // 이 값은 업데이트 이전의 상태를 보여줍니다.
              };

              render() {
                return (
                  <div>
                    <p>Count: {this.state.count}</p>
                    <button onClick={this.handleButtonClick}>증가</button>
                  </div>
                );
              }
            }

 

위 코드에서 handleButtonClick 메서드는 버튼 클릭시 count 상태를 1 증가시키려고 합니다.  console.log(this.state.count)에서 출력되는 값은 업데이트 이전의 상태입니다. 이는 setState()가 비동기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입니다.

 

      
	해결 방법
	1. setState() 함수의 두 번째 매개변수로 콜백 함수를 전달하여 상태 업데이트가 완료된 후에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handleButtonClick = () => {
              this.setState({ count: this.state.count + 1 }, () => {
                console.log(this.state.count); // 업데이트 이후의 상태를 출력합니다.
              });
            };
            
            
            
            
            
	2. 함수형 업데이트 사용:
	setState() 함수에 함수를 전달하여 이전 상태를 기반으로 새로운 상태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이전 상태를 정확하게 기반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handleButtonClick = () => {
          this.setState((prevState) => {
            return { count: prevState.count + 1 };
          }, () => {
            console.log(this.state.count); // 업데이트 이후의 상태를 출력합니다.
          });
        };

 

둘 다 업데이트 이후의 상태를 보장하므로 비동기적인 특성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주로 두 번째 방법(함수형 업데이트)이 권장되며, 이전 상태를 정확하게 기반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728x90
반응형

'[FRONTEND]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기본 문법_Object 자료형 , Route  (1) 2023.10.22
[REACT] 기본 문법_Props !  (1) 2023.10.20
[REACT] 기본 문법_컴포넌트 문법 & Map( ) 함수  (0) 2023.10.12
[REACT] 기본문법  (0) 2023.10.05
[REACT] REACT 시작하기  (0) 2023.10.03
728x90

💡 React란 ?

 

React는 Facebook에서 개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기 위한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웹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기 위해 활용되며, 특히 단일 페이지 애플리케이션(SPA) 개발에 많이 사용됩니다.

React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컴포넌트 기반 아키텍처를 사용합니다. 각 컴포넌트는 재사용 가능하며, 이러한 컴포넌트들을 조합하여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React는 가상 DOM(Virtual DOM)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성능을 최적화하고, 변경된 부분만 실제 DOM에 적용하여 렌더링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 REACT 설치 및 실행

 

1. Node.js 다운로드

 

https://nodejs.org/ko

React를 사용하기 위해 해당 링크에 접속해서 Node.js 설치를 해야합니다.

두 가지 버전을 다운받을 수 있는데 LTS가 붙은 버전은 기업에서 사용해도 될만큼 안정화되었고 신뢰도가 높은 버전이고 오른쪽의 현재 버전은 현재 버전으로 최신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으나 안정성과 신뢰성이 낮습니다.

 

Node.js 다운로드

 

다운로드 받은 Node.js 설치 진행

 

 

 

 

설치가 완료된 후 터미널을 실행하여 node -v을 입력한 후 node.js의 버전을 확인합니다.

 

 

2. React프로젝트 생성

 

React 프로젝트를 실행 할 폴더를 생성하고 해당 폴더로 이동합니다. 해당 폴더의 터미널에 npx create-react-app 프로젝트명을 입력하여, react 프로젝트를 설치합니다.

npx create-react-app haneep-react 를 터미널에 입력하여 프로젝트명이 haneep-react인 react 프로젝트를 생성

 

 

명령프롬포트에 입력하면 약 30초 ~ 1분 가량 설치가 진행되고, 설치가 완료되면 해당 화면이 cmd창 하단에 Happy hacking이라는 문구가 나타나게 됩니다.

이 후 터미널에 npm start를 입력하면 react 프로젝트가 실행됩니다.

 

 

React는 웹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React Native와 같은 파생 프레임워크도 제공하여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FRONTEND]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기본 문법_Object 자료형 , Route  (1) 2023.10.22
[REACT] 기본 문법_Props !  (1) 2023.10.20
[REACT] 기본 문법_컴포넌트 문법 & Map( ) 함수  (0) 2023.10.12
[REACT] 기본문법  (0) 2023.10.05
[REACT] 시작하기  (1) 2023.10.03

+ Recent posts